2005년 French nature documentary film으로 원제는 "La Marche de l'Empereur " 다.
소율이가 펭귄이 나오는 영화가 보고싶다 하여, netflix에서 '펭귄'으로 검색해서 찾아낸 주옥같은 다큐멘터리.


 
황제펭귄은 알을 낳을 때가 되면 자신이 살던 곳을 떠나 긴 여정을 시작한다.  바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이들의 서식지는 약한 얼음을 지반으로 하고 있어서, 자칫 어린펭귄들이 바다에 빠질 수도 있고, 포식자에게 노출될 위험도 높아서 알을 낳고 어린 펭귄을 기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까닭이다.
일주일여, 밤낮을 걸어서 도착한 번식지에서 펭귄은 짝짓기를 하고, 두 달여를 기다려 단 하나의 알을 낳은 후, 암컷은 서식지로 돌아가기 위해 알을 조심스레 수컷에게 인계한다. 서식지를 떠나온 이후엔 전혀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알을 보호하면서, 서식지로 돌아가 먹이를 먹고 돌아오는데, 암컷의 차례가 우선인 것이다. 암컷의 발 위에 놓인 알이 성공적으로 수컷의 발등으로 옮아가지 않는다면, 알은 깨지거나 얼어서, 지금까지의 긴 여정은 허사가 되버리고 만다.  

두 달여 동안 먹지 못해서 체중은 1/3로 줄어든 상태로, 암컷들은 힘들게 발을 옮긴다. 그리고 서식지에서 배를 잔뜩 불린 후, 아빠와 아기 펭귄이 기다리고 있는 breeding ground로 돌아온다(혹은 포식자에게 잡아 먹혀서 돌아오지 못하거나...). 그 한 달여 기간 동안,  아빠 펭귄은 더욱 거세어진 눈바람과 배고픔을 견디며 알을 부화시키고, 뱃속에 먹이를 담아올 엄마펭귄을 기다린다. 그러나, 엄마펭귄이 적정한 때보다 이틀이라도 늦게 도착한다면, 아빠 펭귄은 아기 펭귄을 버리고 다시 자신의 서식지로 돌아갈 것이다. 어짜피 먹이가 없다면 아기 펭귄은 살아날 가망이 없으므로...  

드디어 엄마 펭귄은 돌아오고!
소리를 통해 서로를 면밀히 확인하면(가족을 제대로 알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엄마 펭귄은 뱃속의 먹이를 아기 펭귄에게 나누어준다.
서너 달을 눈 조각으로 버틴 아빠  펭귄은 다시 서식지로의 힘든 여행을 시작하는데....



아이를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고 난 후, 나는 10달 동안이나 뱃속에 아이를 담고 다녀야 한다는 사실이 불만스러웠다. 그냥 한 두 달 만에 아기가 나오면 얼마나 좋겠나(막상 10개월이 되었을 땐, 아직 아이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느꼈지만). 하지만... 극한의 추위에서 꿈쩍하지 않고 눈바람을 맞으며 인내하는 펭귄 앞에 내 10개월은 얼마나 평온했던가.
암컷에게서 수컷으로 옮아가는 동안, 순간의 실수에도 여지없이 금이 가버리고 마는 알이 안타까웠고,
먹을 것이 없어서 죽어버린 아기 펭귄과, 추위 속에 잠들다 끝내 세상에서 사라지고 마는 수컷 펭귄이 슬펐다.
포식자에게 잡아먹혀 가족에게 돌아갈 수 없는 암컷 펭귄과 그녀를 기다리고 있을 가족 때문에 가슴 답답했는가 하면, 저 멀리서 돌아오는 암컷 펭귄들의 모습에 가슴이 벅차올랐다.  무엇보다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 죽을 힘을 다하는 수컷 펭귄들은 정말 감동이었다.
임신과 육아가 그저 여자들의 몫이라 생각하는 많은 남자 사람들에게 보여주면 딴청하면서 도망갈 듯 -.-.
우리나라에는 <펭귄-위대한 모험> 이라는 제목으로 몇 년 전에 영화가 나왔다고 한다. 꼭 한번 보시길-


'Fi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at happens during ejaculation?  (2) 2010.07.16
쇼팽의 연인  (2) 2010.07.13
Kipper  (0) 2010.04.16
Into the Woods  (2) 2010.01.26
AVATAR  (2) 2010.01.05
Posted by emptyroom
,
차를 타면 라디오를 듣게 되는데 Jason Mraz의 노래는 나가는 길에 한번, 돌아오는 길에 한번씩은 꼭 나오는 것 같다. 숨죽이고 귀를 기울이게 만드는 감미로운 목소리..

나는 변변찮은 성대를 가지고 있어서, 좀 오랫동안 말을 하는 것도 힘에 부치는 사람이라
좋은 목소리를 가진 사람을 보면 참 부럽다. 남녀를 불문하고...
아름다운 목소리를 갖는 다는건 어떤 느낌일까?
라디오에서 들었던 건 I'm yours라는 노래였는데 Jason Mraz의 음악을 찾아서 듣다보니 이 Lucky라는 곡이 더 마음에 든다(끼워넣기가 안되서 아쉽).

Lucky_Jason Mraz & Colbie Caillat

가사 접어두기



I'm Yours_Jason Mraz

함께 이 노래를 들으면서 YY에게 '가창력이 필요한 곡은 힘드니까, 읊조리듯 조용한 이 곡을 열심히 연습해서 노래방에서 함께 불러보자'고 했더니, 이런 곡일수록 목소리와 발음이 중요하다며 일침을...

 


'Music > For 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ee_Hello  (0) 2011.06.19
Glee_True Colors  (0) 2011.06.18
You make me feel brand new _Simply Red  (0) 2011.04.15
I hate to see October go  (2) 2010.10.31
Les Bicyclettes De Belsize_ Engelbert Humperdinck  (3) 2010.05.14
Posted by emptyroom
,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92

가슴이 뜨거워지는 기사다.
소율이 교육도 교육이지만, 내가 평생동안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지 말해 주는 것 같다.
당분간은 인디고 서원에서 추천하는 교육관련 책들을 읽으며 내 자신과 자식의 교육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싶다.

이 기사를 읽다가 마음에 들어오는 두 문단이 있어서 옮겨왔다. 두 글 모두 내가 최근 생각하던 문제라서. 한 문단은 '말할 수 없는 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란 주제로 유진재 학생이 쓴 글이고, 다른 문단은 영어교육과 관련된 간디의 글이다.


 “말을 못하는 자들은, 진짜로 말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말을 하는 자들이며, 우리가 듣지 않으려는 자들일지도 모릅니다. (중략) 로렌스는 동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그렇다면 ‘나’는 과연 어떤 자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나요? 내 친구들 중에 바그다드 동물원의 동물들처럼 소외된 친구는 없나요? 내 이웃 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웃은 없나요? 인간의 건물을 짓기 위해 잘려나가는 나무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나요?”   ___인디고서원 홈페이지 한 줄 토론방에 유진재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소통'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야 하고 싶은 말을 다 쏟아 낼 수 있었고, 대부분의 상황에서 내 의견은 영향력이 있었다.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다 싶을땐  소리를 높여 불리한 상황에서 빠져 나오는데 익숙했는데, 미국에 와서는 좀 달라졌다. 부당한 일이 생겨 이것저것 따져 묻고자 해도 이걸 다 어떻게 얘기해야 하나 부담스럽고, 줄줄이 이어질 귀찮은 일들이 먼저 떠올라서 그냥 참고 넘어가는 일도 왕왕 생겼다. 재빠르게 되받아쳐서 말을 쏟아 부어야 후련해질 상황에서도, 머릿 속에서 문장을 다듬느라 이미 적당한 순간은 지나가 버리기도 하고...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없다는 건, 참 답답하고 주눅드는 일이다. 하지만 이런 내게도 '아- 참 말이 잘 통하네' 싶은 사람이 있었고, '속이 다 시원하다' 는 말이 절로 나올만큼 잘 만들어진 사회제도의 덕을 보기도 했다. 결국 소통이란 언어의 기술을 넘어서 얼마나 마음을 열어 주는가에 있는 것이다.  말이 통하지 않는다는 건, 상대에게 귀를 기울일 의지나 인내심이 없다는 것이다. 진부한 얘기지만 정말 옳다. 의사표현이 어려운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내가 체험해보니 옳다는 걸 알겠다(이렇게 적으니 뭔가 대단한 차별을 받은 듯한 인상을 주는데, 그건 아니고.. -.-).
전 세계 사람들이 몰려와 모여사는 미국에서 소통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밖에 없는데, 우리나라도 다를 건 없다.  상대의 출신 지역, 학교, 종교(-.-), 성별, 나이, 외모, 국적(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인종차별은 개인 수준에서나 사회적 제도 면에서 더 심각한 듯)  때문에 소통의지를 접고 마는건 마찬가지 아니던가.  글을 쓰다보니 주제가  '소통'에서 스멀스멀 '사회적 편견'으로 옮아가는 것 같은데, 억지스럽게 결론을 맺자면,  사회적 편견이 소통을 방해하는 요인이니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인 수준과 사회제도 수준 에서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그리고 소통능력이 부족한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그들의 의사나 요구에 귀를 기울여주면 참 감사하겠다.

“나는 사방이 벽으로 막혀 있고 창문이 꼭꼭 닫혀 있는 집에서 살고 싶지는 않다. 나도 바람이 자유롭게 내 집에 불어오기를 바란다. 그렇지만 나는 그 바람에 내 집의 뿌리가 뽑히기를 바라지는 않는다. (중략) 나는 문학적 소양이 풍부한 젊은이들이 제 나라 말을 무시하고 부끄럽게 여기며 심지어 잊어버리는 일이 없기를, 혹은 제 나라 말로는 훌륭한 생각을 할 수도, 표현할 수도 없다고 생각하는 젊은이가 한 사람이라도 없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__ 간디

요즘 소율이의 영어교육에 관해 생각하는 중이다. 조급해하지 말자.
내 비록 영어는 미약하나, 나에겐 소율이와 정신적 유대를 나눌 수 있는 아름다운 모국어가 있다.
우선은 한국어부터 제대로...


인디고서원이 추천하는 교육 관련 책
<체 게바라 파울루 프레이리 혁명의 교육학>
<벨 훅스 경계넘기를 가르치기>
<민주화 이후의 공동체 교육>
<핀란드 교육의 성공>
<자유와 교육이 만났다, 배움이 커졌다>
<학교를 칭찬하라>
<가르칠 수 있는 용기>
<내가 무슨 선생 노릇을 했다고>
<감동을 주는 부모 되기>
<정의와 배려>
<간디, 나의 교육철학>
저자 및 출판사 정보는 인디고서원 홈페이지(www.indigoground.net) 참조


이 기사를 접한지는 오래 되었는데, 그동안 찔끔찔끔 글을 쓰다보니 벌써 몇주가 흘러버렸다.
그만큼 많이 고심해서 쓴 글이다!라는 뜻은 아니고....  요새 주의집중 못하고 있다.
바깥으로 쏘다니기 너무 좋은 날씨라 날마다 피곤하구나.

'Books > Pare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15분, 책 읽어주기의 힘_짐트렐리즈  (0) 2011.10.19
Posted by emptyroom
,
우화, 정교함, 유머

'Books > Picture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ildren's Classic Books  (2) 2011.06.13
Everyone Poops  (3) 2011.05.07
Waiting for Winter  (0) 2009.12.18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2) 2009.12.02
FOOD PLAY  (2) 2009.09.09
Posted by emptyroom
,

변화

Diary/Jogging 2010. 5. 28. 12:57
내가 조깅하는 호수에 뭔가 변화가 생긴 것 같다.

작년에는 호수에서 '거북'인지 '자라'인지 뭐 그런 것들을 전혀 본 기억이 없는데
요새 물 속을 들여다 보면 십 수마리는 될 성 싶은 자라떼가( 혹은 자라떼로 추정되는, 우리 어머님이 거북이는 바다에 살고, 자라는 민물에 살며, 입이 길게 쭉 나와 있으니 자라일거라 하셨다) 한가롭게 수영을 하고 있다.  
또 물고기는 왜 그렇게 갑자기 늘어난건지... 작년엔 잘 보이지 않던 낚시꾼들도 심심찮게 눈에 띈다.
오늘은 줄무늬 다람쥐와 멧토끼를 보았다.
큰 회색 다람쥐는 많이 봐왔지만, 작은 줄무늬 갈색 다람쥐들이 그렇게 많은건 처음이라 깜짝 놀랐다.
새의 종류도 많아진 것 같고.. 호수 주변 숲이 동물들 풀쩍거리는 소리로 요란스러웠으니...
갑자기 어찌된 일인지 영문을 모르겠다.
내가 새로운 세상에 눈은 뜬 것이냐, 이곳이 살기 좋은 곳으로 동물계에 소문이라도 퍼진거냐, 것도 아니면,  동물들이 대담해진 것이냐. 어쨌건 이젠 산책할 때 카메라를 확실히 챙겨야겠다.


'Diary > Jogg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위 가족  (1) 2010.06.23
Motivation  (0) 2010.06.15
조깅하기 좋은 계절  (0) 2010.05.18
조깅 25회  (0) 2009.11.11
일주일에 두번  (0) 2009.09.25
Posted by emptyroom
,

새 블로그

카테고리 없음 2010. 5. 25. 14:01
http://mixedink.wordpress.com/

새로운 터를 잡았다.  
시즌2 Coming soon
Posted by emptyroom
,

Crane Beach

Diary/Travel 2010. 5. 24. 13:09

 
소율이 1년 전만 해도 바닷가를 무서워했었는데, 이제 날마다 바닷가에서 놀고 싶다고 노래를 한다.
보스턴 시내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바닷가. 시간을 잘 맞춰 가면 모래밭에서 손바닥만한 조개들을 캘 수 있다.



'Diary >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r Harbor & Acadia National Park 여행 준비  (2) 2010.08.30
Boston_ Larz Anderson Park  (1) 2010.08.17
New York, New York  (0) 2010.01.21
여행 공부  (0) 2009.10.16
여행_ 못믿을 기억  (0) 2009.09.02
Posted by emptyroom
,

어렸을 적 즐겨봤던 고스터바스터즈
도서관에서 이런 이벤트 만나면 너무 즐겁겠다.

더불어, 내가 평소 품었던 생각.
Clio, you have a wonderfully warm writing style!
Posted by emptyroom
,

자존감에 관한 글

Psychology 2010. 5. 20. 03:34
http://bahamund.wordpress.com/2010/03/30/자존감/

글쓴이의 주장은 건강한 사람들에게 하는 충고인 것 같고...
정말 자존감이 낮아서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겐, 작은 것이나마 스스로 뭔가를 이루어 보는 성공경험을 맛보게 함으로써 자존감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자존감이라는게 다른 이들의 찬탄이나 인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성취로 획득하는 것이라는데 전적으로 동의한다. 아기가 스스로의 힘으로 물건을 쥐고 걸음을 옮기는 것에서부터 퍼즐 조각을 맞추고, 돌멩이를 층층히 쌓거나 노력해서 좋은 시험성적을 받아본 기억 등, 개인의 인생사 속에서 이루어낸 크고 작은 여러 성공 경험은 자존감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험은 이후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어려움을 극복하게 하는 밑거름이 되는 것일테고. 부모로서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면, 무분별하게 칭찬하고, 퍼즐조각을 올바른 곳에 놓아주거나 즉각 문제를 해결 해줄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퍼즐의 제자리를 찾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아, 참 말은 쉽다.


이 글 외에도 주옥같은 글들을 볼 수 있는 블로그다.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이 부끄럽다.  (2) 2009.08.15
Posted by emptyroom
,
날씨가 참 좋다, 뛰어 놀기에...
본격적으로 조깅할 시기가 돌아온 것이다.

어젠 무려 호숫가 3바퀴를 돌았다. 두바퀴는 뛰어서 돌았고 나머지 한바퀴는 소율이랑 한량거리면서.
호숫가에서 아기 거위 4마리를 발견했는데 지금까지 이 호숫가에서 아기 거위를 본적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신기했다. 거위는 정말 많은데.....  다들 다른 곳에서 알을 낳고 새끼를 다 키운 후에 이곳으로 돌아오나 보다.



그나저나 운동화가 다 닳았다. 이렇게 신발이 떨어질때까지 신어 본적이 없는데, 새로 운동화도 한 켤레 장만하고 운동바지도 한 벌 사야겠다.  어쩐지 흥분된다.

'Diary > Jogg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tivation  (0) 2010.06.15
변화  (2) 2010.05.28
조깅 25회  (0) 2009.11.11
일주일에 두번  (0) 2009.09.25
가볍게 가볍게  (0) 2009.09.09
Posted by emptyroom
,